주식 레포트 정리

[미래에셋증권 / 민지희, 김성신] 12월 FOMC 속도 조절, 인하 기조 유지

Blackhippo0805 2024. 12. 19. 22:47

주요 내용

  • 12FOMC 25bp 금리 인하 결정 : 시장 예상과 일치, 소수의견 동결 1명
  • 다만 이후 인하속도에 대해서는 늦어질 것으로 예상 함 : 2025년 금리 인하 폭은 당초 100bp에서 50bp 축소로 줄었고, 중립금리(Longer-Run) 전망치도 3.0%로 이전 9월 대비 +0.1%p 상향
  • 9월 FOMC에서 3%이상의 중립금리를 추정한 연준위원의 수는 9명이었느데, 이번 회의에서 11명으로 늘어나며 향후 2년간  금리 전망치도 26년 2.9% => 3.4%, 27년 2.9% => 3.1%로 9월대비  상향 조절되었음.
  • 수정경제전망(SEP)에서 경제 성장률 및 인플레 전망치 모두 상향 조정되어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
  • 시장에서는 예상보다 매파적이었던 FOMC 결과를 반영하여 미 국채 2년물은 4.3%, 10년물은 4.5%로 각각 10bp 가량 상승

 

파월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인플레를 목표 수준으로 내리기 위해 추가 고용 냉각 필요치 않음

2. 주거비 둔화는 기대보다 완만하지만 인플레는 큰 틀에서 진전 경로에 있음

3. 내년 점도표 상향은 인플레 리스크가 높아졌다는 의미

4. 고용은 여전히 냉각되고 있으나 우려할만큼 빠른 속도는 아님

5. 장기적으로 인플레는 둔화하고 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 제약적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함

6. 신 행정부 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 불확실성은 존재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인플레 상방리스크는 아님

 

 

 

파월의장이 언급한 금리 추가 인하의 조건 = 인플레 둔화 진전 & 고용 시장 약화

1. 인플레 둔화의 진전 

- 25년말 코어 PCE 인플레 전망 2.5% 상향 : 월 평균 0.2%대 초반 수준의 상승 속도 유지 

- 금리 인하 횟수 예상 2차례로 축소

- 향후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정책이나 감세등의 인플레 상방 위험 자극을 전망 

  : 다만 관세가 가계소비 위축요소가될수도 있어 반드시 인플레 자극 요인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보고서에서는 판단

2. 고용시장 약화

- 최근 몇개월간 임금 상승 압력이 다소 높아지겠지만 기업들이 노동투입시간 감소, 생산성 개선하는 방식을 통해 생산비용 절감을 도모할 것으로 예상

 

12월 연준 수정경제전망(SEC) 업데이트

- 올해 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

- 4분기 코어 PCE 인플레 전망 2.8%

- 실업률 전망치 하향

- 인플레 전망 상향 조정

 

 

https://link.coupang.com/a/b5IdCY

 

쿠팡은 로켓배송 | 쿠팡 – 로켓직구

해외의 여러 상품을 쿠팡 로켓배송으로 빠르게 만나보세요. 모든 로켓직구 상품은 관부가세 포함가로 추가 비용 없이 해외 배송을 즐길 수 있어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